광고
광고
광고
로고

강원도교육청 , 교육주체들이 함께 뿌리내린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교육청과 지자체, 마을과 학교의 협력 촉진

김고구마 | 기사입력 2022/04/27 [10:53]

강원도교육청 , 교육주체들이 함께 뿌리내린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교육청과 지자체, 마을과 학교의 협력 촉진

김고구마 | 입력 : 2022/04/27 [10:53]

강원도교육청


[우리집신문=김고구마] 강원도교육청은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29일까지, 현장 중심의 마을교육공동체 내실화를 위해 성장지원 컨설팅, 학습공동체, 협의회등 민·관·학 주체들을 연결하고 만나는 사업들을 진행해오고 있다.

도교육청은 △권역별 찾아가는 온마을학교 성장지원 △행복교육지구 맞춤형 성장지원 △학교협동조합 네트워크 협의회 △행복교육지구 등 마을교육공동체 학습공동체 및 실무협의를 통해 학부모, 지역주민, 교직원 등 교육 주체들과 교육지원청 및 시·군 지자체가 협력하며 지역의 교육 현안을 해결해가는 교육자치 기반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2016년부터 추진 중인 강원도형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은 △온마을학교 △행복교육지구 △마을교육과정 및 마을선생님 △사회적경제 교육 및 학교협동조합 4개의 사업을 연계 추진해오고 있다.

7년차에 접어든 온마을학교는 2016년 12개 단체로 시작하여 2022년에는 32개 단체가 운영되고 있으며, △마을돌봄 △청소년자치 프로젝트 지원 △문화예술·생태·환경·인문 독서·놀이 등을 통한 정서지원 △학교연계 마을교육과정 운영 △진로·지역사 등 돌봄과 배움의 다양한 교육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교육지원청과 시·군 지자체의 협약으로 운영되는 행복교육지구 사업은 2016년 화천과 태백을 시작으로 2021년 18개 시군으로 확대되어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아이들의 삶을 중심으로 총체적 지원이 가능한 민·관·학 교육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온마을 돌봄·배움터를 조성해 가는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인제, 춘천, 횡성 행복교육지구에서는 사업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법적 기반을 마련하며 △인제교육자치협력센터, △재단법인춘천마을자치지원센터, △사회적협동조합 마을 등 다양한 모델로 중간지원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강릉, 평창 등 다른 행복교육지구에서도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마을교육과정은 지난해 4,898명의 마을선생님이 마을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협력 수업을 진행했으며, 운영 지원을 위한 마을교재 제작도 지역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원주(원주를 걷다, 반곡동, 봉산동, 단구동, 지정면, 무실동, 부론면 교재) △양구(배꼬미 브이로그 양구여행) △정선(정선을 닮다) △태백(하늘아래 첫 동네, 태백 한 바퀴) △ 춘천(안녕? 우리 춘천), △강원유아교육진흥원 개발(마을을 담다_양구,홍천,춘천) △화천(내 고향 화천 바로알기) △철원(역사 교과서 속의 철원) △강릉 노암(그림책) 등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회적경제 교육을 통해 협동과 상생의 가치를 배우는 학교협동조합은 2016년 금병초등학교 비단병풍 사회적협동조합과 춘천 한샘고등학교 사회적협동조합 설립을 시작으로 2021년 봉평고등학교협동조합 에움길이 설립되어 12개의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설립한 봉평고등학교협동조합 에움길은 학교 공간 혁신 사업으로 마련된 스마트 커뮤니티센터를 활용한 스터디 카페, 지역 시장 협동조합과 연계한 목공 제작 판매 사업, 시장 홍보 영상 제작 등의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결고리를 만들고 있다.

도교육청은 그동안의 성과들이 지역에 잘 뿌리 내릴 수 있도록 교육청과 지자체, 학교와 마을의 연결을 촉진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교육자치 기반을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에는 행복교육지구 등 마을교육공동체의 민관학 주체들이 참여하는 학습공동체를 실시하고 있다.

4월 29일에는 ‘현재의 민주시민으로 존중하는 마을교육이란?’ 주제로 ‘민주시민교육과 마을교육공동체(성장학교 별 교장 김현수)’ 특강과 ‘학교와 마을이 만나는 n가지 방법’ 사례로 학습공동체가 비대면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도교육청 전기철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지역 교육력 회복 및 마을교육 자치 역량 향상을 위해 앞으로의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은 더 작은 단위에서, 더 일상적인 만남으로, 더 자치적으로 다양한 풀뿌리 교육 주체들의 연대와 협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