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로고

울산시립미술관, 개관특별전 이어 2번째 특별전 개최

“예술과 꿈이 사회경제의 주성장 동력이 되는 시대”

ppp | 기사입력 2022/10/17 [08:33]

울산시립미술관, 개관특별전 이어 2번째 특별전 개최

“예술과 꿈이 사회경제의 주성장 동력이 되는 시대”

ppp | 입력 : 2022/10/17 [08:33]

▲ 굳와이브즈 앤 워리어즈, 2022, 앱솔루트 블랭크, 합판에 페인트


[우리집신문=ppp] 울산시립미술관이 개관 이후 2번째 특별전 ‘예술과 산업’을 개최한다.

내년 1월 29일까지 제1·2전시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특별전은 총 10개국, 15명(팀)의 작가가 참여하는 국제 전시로 마련됐다.

한국 작가 6인과 중국, 러시아, 네덜란드, 프랑스, 캐나다, 싱가포르, 영국, 독일, 일본 작가들이 참여한다.

이번 전시는 ‘예술과 산업’이라는 제목에서 나타나듯, 예술가와 다양한 산업 주체들과의 협업 결과 중 미학적 성취가 뛰어난 작품들을 소개함으로써 과거에는 자본, 노동력, 기술이 경제성장의 동력이었다면 이제는 여기에 예술과 문화가 추가되는 시대임을 보여준다.

전시 참여 작가들은 자동차, 에너지화학, 정보기술(IT), 음악, 패션, 영화, 식음료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과 협업한 예술작품을 선보인다.

중국의 대표적 현대미술작가인 양푸동은 프라다의 의뢰로 1930년대 상하이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영상을 제작했다. 이 작품은 전통과 현대의 융합에 대한 양푸동만의 해석을 담아내고 있어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는다.

에이이에스+에프(AES+F)는 젠틀몬스터와 협업한 광고영상인 ‘생명의 순환’을 선보이고 있다. 초현실적 공간을 배경으로 ‘인공적’인 편집 기술을 극대화해 뛰어난 영상미를 뽐내고 있다는 점에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연두 작가는 현대자동차와 협업해서 자동차 극장을 만들었다. 전시장에는 소위 ‘각그랜저’라 불리는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관객이 이 차에 타면 감미로운 음악과 함께 마치 영화 속 주인공처럼 질주하는 자신의 모습을 눈앞의 대형스크린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자동차’라는 제품의 온전한 모습을 작품에 그대로 들여오고, 직접 관객이 해당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싱가포르 예술가 집단(아티스트 컬렉티브)인 풍크(PHUNK)는 나이키의 스케이트보드 전용 신발 출시를 기념해서, 조각, 영상, 포스터를 만들었다. 이들은 신발에 그림을 그려 넣는 등의 일반적인 접근 대신 신발을 ‘해체’해서 작업의 재료로 썼다. 점프, 회전, 사로잡기 등과 같은 스케이트보드 동작을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스케이트보드 전용 신발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예술가와 기업 간 협업의 다채로운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이번 전시의 또 다른 묘미다. 미국의 반도체 회사 인텔과 미디어 업체 바이스가 운영하는 ‘크리에이터스 프로젝트’는 기존에 기업이 예술을 ‘후원’하는 방식에 가깝다면, 독일의 자동차 회사 아우디는 한발 더 나아가서,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자동차 전조등과 주차 감지기(센서)를 직접 의상(드레스)에 적용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또 울산에 공장을 두고 있는 에너지화학회사 에스케이(SK)이노베이션은 김정기 작가의 실시간 작화(라이브드로잉) 과정을 텔레비전 광고로 만들어 송출했다. 이처럼 예술 후원과 기업의 예술홍보(아트마케팅), 광고와 작품 사이에 숨겨진 다양한 차원들을 발굴해 드러내는 것이 이번 전시의 목적이다.

아울러, 특별전 연계 행사로 예술과 산업을 주제로 한 강연회도 개최한다.

강연은 10월 18일과 25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미술관 1층 다목적홀에서 총 2회 진행한다.

10월 18일 진행하는 강연 제목은 “데스티네이션 크리에이터(Destination Creator)-파라다이스 시티를 중심으로”이며, 강사는 전동휘 파라다이스 세가사미 예술(아트)팀 감독(디렉터)을 초청했다.

10월 25일 강연 제목은 “199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 관계의 미학과 체험의 경제”이며, 강사는 우정아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가 맡는다.

강연 듣기를 희망하는 자는 전자우편(hanna9025@korea.kr)으로 참석인원과 이름을 작성해서 보내면 된다. 미취학 아동은 입장할 수 없고 초등학교 3학년 이하는 부모와 함께 입장할 수 있다.

울산시립미술관 관계자는 “예술과 산업 간 다양한 결합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지금 시대는 제품이 아닌 문화를 생산하고 소비하고 있다.”면서 “이번 전시에서 관객들은 예술의 가치가 산업의 가치창출로 상호확장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