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로고

대구시, 일제강점기 미공개 문화예술 자료 대거 발굴

아동문학가·작사가 윤복진(1907~1991) 유족 소장 자료 대량 기증

ppp | 기사입력 2022/09/19 [14:06]

대구시, 일제강점기 미공개 문화예술 자료 대거 발굴

아동문학가·작사가 윤복진(1907~1991) 유족 소장 자료 대량 기증

ppp | 입력 : 2022/09/19 [14:06]

▲ 물새발자옥 표지


[우리집신문=ppp] ‘일제강점기 예술인의 숨결이 남아있는 자료들을 만나다.’

근대기 대구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상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대거 대구시에 기증됐다. 일제강점기 작사가이자 아동문학가로 활약한 윤복진(1907~1991)의 유족이 소장했던 자료들이다.

‘가을밤 외로운 밤, 벌레우는 밤~(후략)’으로 시작하는 동요 ‘가을밤’의 원작이 ‘울밑에 귀뚜라미 우는 달밤에, 기럭기럭 기러기 날아갑니다’로 시작하는 윤복진의 ‘기러기’(1929)이다. ‘가을인가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 봐~(후략)’의 동요 ‘아 가을인가’도 윤복진의 노랫말이다.

이번 기증 자료에는 육필 노트, 필사 악보 등을 비롯해, 박태준 작곡, 윤복진 작사, 이인성 표지화로 만든 '물새발자옥'(1939), 윤복진이 1929년 펴낸 '동요곡보집', '초등동요유희집'(1931), '현제명작곡집'(1933) 등 1920~40년대 악보집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그 중 '동요곡보집'은 1920년대 이름난 작사·작곡가들의 곡 35곡이 수록됐고 그간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던 귀한 자료다.

또 1938년 대구공회당에서 열린 제1회 신인가수선발콩쿠르 결선 프로그램(박태준, 윤복진 심사위원) 등의 공연 팸플릿과 『어린이』,『아동』,『음악평론』 등의 잡지, 무영당 광고지 등 당대 문화예술계 상황을 알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936년 발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음악 평론잡지 『음악평론』4월호(윤복진 평론 게재), 1946년 창간된 아동잡지『아동』창간호(윤복진 동요 수록)와 최남선의 『백팔번뇌』(1926) 등의 초판본 도서들과 대구 출신 영화감독 이규환이 해방 후 제작한 영화 '똘똘이의 모험' 시나리오도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자료에는 윤복진의 친필 사인이 적혀 있으며 그 외 윤복진의 습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친필 노트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윤복진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를 통틀어 윤석중과 함께 최고의 아동문학가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 우리말로 된 시와 노래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민족정신을 잊지 않도록 하는 ‘소년문예운동’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대구소년회 소년단원으로도 활동했다. 대구사립희원보통학교와 계성학교, 일본 호세이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10대 후반이었던 1925년 방정환의 추천으로『어린이』를 통해 등단한 이후, 윤석중, 서덕출, 신고송 등과 함께 동인 활동을 하며 전국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또 박태준, 홍난파, 박태현, 정순철 등 당대 유명 작곡가들이 윤복진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 박태준과는 4권의 동요집을 함께 냈다. 윤복진은 김수향, 김귀환, 파랑새 등 다양한 필명으로 작사 활동 외에도 음악 평론, 영화와 무용 평론 활동도 활발히 했다. 또 음악가 외에도 화가 이인성과 김용조, 무영당백화점 창립자 이근무 등과도 친분이 깊었다.

윤복진은 1950년 한국전쟁 중 월북으로 잊혀졌다가 1988년 해금 이후부터 학계 등에서 조금씩 조명하는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번 자료 기증으로 인해 윤복진과 일제강점기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관심이 재조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유족이 오랜 세월 소중히 보관하시던 자료들을 대구시에 기증해주셔서 감사드린다. 기증 자료를 통해 일제강점기 대구의 주요 문화적 거점을 중심으로 전국의 예술인들이 교유한 이야기를 찾아내 훌륭한 문화적 자원으로 재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학술 세미나와 전시를 열고, 청년예술가들과 시민, 그리고 연구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다” 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