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신문=ppp]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과 공동으로 6일부터 18일까지 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전시 ‘등잔 밑의 이야기’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부마민주항쟁 직전과 당시의 중요 사건이지만 ‘등잔 밑’처럼 역사의 전면에 드러나지 않은 채 숨겨진 부마항쟁의 주요 국면들을 기록물과 예술작품을 통해 밝히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섹션으로 구분해 선보여진다. 첫 번째 섹션인 ‘등잔 밑의 이야기’는 9월17일 일어났던 부산공전시위, 10월15일 부산대에서 먼저 배포한 또 하나의 민주선언문, 10월18일 부산여대 학생들이 시내까지 진입했던 시위를 주목했다. 그동안 부마민주항쟁 연구가 주로 1979년 10월16일(부산)과 10월18일(마산)에 일어났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다뤄졌던 것에서 벗어나 ‘등잔 밑의 이야기’를 수면 위로 끌어올려 시민들에게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도록 했다. 두 번째 섹션은 항쟁 속에서 숨은 이야기를 탐색하기 위해 과거 사진 속 장소를 추적하는 사진 컬렉션이다. 이 섹션은 부마민주항쟁이 일어난 1979년 10월16일 현장에 있었던 김탁돈 기자가 남긴 사진들을 추적하는 ‘항쟁의 장소:오마주 투 김탁돈’으로, 부마민주항쟁 당시에 촬영한 김탁돈 기자의 사진과 현재의 장소에서 새롭게 촬영한 사진을 나란히 배치해 비교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일상적 도시 공간에 벌어졌던 참상을 상상하게 한다. 당시 국제신문 소속이었던 김탁돈 기자는 1980년 5월 부산에서 광주를 직접 찾아 5·18의 참상을 직접 취재해 사진으로 남겼으며, 이를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 기증한 바 있다. 마지막 섹션은 부마민주항쟁과 5·18민주화운동을 ‘신발’이라는 하나의 소재로 연결하는 ‘두 개의 신발’이다. 이 섹션은 부산의 박경효 작가와 광주의 주홍 작가가 협업해 창작한 두 개의 샌드 아트 작품으로 구성됐다. 부산의 신발 공장 노동자가 만든 신발을 광주의 평범한 어린이가 선물로 받으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분리된 작품처럼 보이지만 서로 이어져 있는 샌드 아트 영상을 통해 부마민주항쟁과 5·18은 서로 연결되어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최갑순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은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부마민주항쟁 관련자들의 이야기를 광주 시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어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인화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장은 “5·18과 부마는 별개가 아닌 연속선상에 있는 사건으로 부마민주항쟁과 다양한 장면에서 닮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깊어지는 전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