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로고

용산구, 사진˙지도˙도면으로 밝힌 용산기지 역사

홍길동 기자 | 기사입력 2021/08/05 [07:55]

용산구, 사진˙지도˙도면으로 밝힌 용산기지 역사

홍길동 기자 | 입력 : 2021/08/05 [07:55]


[우리집신문=홍길동 기자] 용산문화원, 도서출판 선인이 용산기지 사료집 3권을 발간했다. 표제는 ‘사진과 지도, 도면으로 본 용산기지의 역사’다.

신주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김천수 용산문화원 역사문화연구실장이 함께 썼다. 1권(2019년 발간) 1906~1945년, 2권(2020년 발간) 1945~1949년에 이어 3권은 1950~1953년을 다뤘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기지가 완전히 파괴된 모습과 주한미군이 반영구기지로 시설을 복원하는 모습을 사진, 도면, 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목차는 ▲제1부 한국전쟁의 시작_1950년 ▲제2부 1·4후퇴와 서울, 용산기지_1951년 ▲제3부 용산기지 재건을 시작하다_1952년 ▲제4부 전쟁의 끝과 용산기지_1953년 ▲제5부 판문점과 정전협정 순이다.

미공군 B-29기의 용산 조차장의 폭격 장면(1950.7.16.), 서울 재탈환 직후 남산과 서울역 일대 항공 전경(1951.3.16.), 미8군사령관 밴플리트 중장이 복구된 한강인도교의 마지막 못을 박는 장면(1951.6.1.), 용산기지에 새로 자리 잡은 미8군사령부(1953.7.19.) 등 사진이 눈길을 끈다.

1952년 용산기지 재배치 계획도, 1953년 기지 복구 및 재건 상황도에서는 오늘날 용산기지 ‘원형’이 보인다.

신주백 소장은 “미군은 한국전쟁 때 파괴돼 사용할 수 없는 건축물을 제외하면 일본군 건축물을 그대로 사용했다”며 “기지 내 공간도 일본군이 건설한 도로를 축으로 구분했으며 기지 안팎 사정과 연계, 중심이 위쪽으로 이동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원화 과정에서 용산기지를 둘러싼 공간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회복, 이곳이 한반도 거주자의 역사치유 공간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책에 실린 대부분의 자료는 2017~2018년 당시 저자들이 직접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를 찾아 수집한 것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자료도 일부 활용했다.

김천수 실장은 “용산기지는 근현대 동북아 역사의 보고”라며 “관련 기록을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하고 이를 시민들과 공유함으로서 용산공원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 내셔널 아카이브 방문을 후원해 준 차상석 한일사료 부회장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지난 4월 용산구와 함께 ‘용산기지의 역사를 찾아서’ 통합본(전3권)을 발간하기도 했다. 제명은 ▲용산의 역사를 찾아서 : AD.97~1953 ▲용산기지 내 사라진 둔지미 옛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6·25전쟁과 용산기지다. 기지 역사를 종합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성과로 학계,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많이 본 기사